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5

[News] 2023년 1월 2주 부동산 뉴스&댓글 모음 지난주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이 있었는데요. 그로 인한 시장 분위기,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는 1월 2주 부동산 뉴스와 댓글 모음입니다. 3억대 '반값 아파트' 나온다…청년은 '특공' 노려라 [코주부] 청년특공 가능한 나눔형 모델. ‘이 단지’에 적용됐다 고덕강일, 고양창릉 둘다 청약해도 되나요? 3억대 '반값 아파트' 나온다…청년은 '특공' 노려라 [코주부] 윤석열 정부가 내 건 ‘공공분양주택 50만호’ 시범 사업의 스팩과 구체적인 공급 계획이 공개됐습니다. 수도권에 3억원 안팎의 가격으로 아파트를 분양하며 오는 2월 첫 사전 청약을 시작하는 n.news.naver.com “19억에 팔리던 잠실주공 5단지…21억에도 매물 없어요”[부동산360] 정부의 잇따른 규제완화 정책…집.. 2023. 1. 14.
[News] 2023년 1월 1주 부동산 뉴스&댓글 모음 2023 계묘년 1월 1주 부동산 뉴스를 통해 올 한해 부동산 시장 전망, 시황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주는 원희룡 국토부 장관의 규제 완화 정책 발표 등에 힘입어 1월 1일부터 1월 7일까지 한 주간 총 2,451건의 부동산 뉴스가 보도되었네요. (전년 같은 기간은 2,307건) 어떻게 하면 관심도 높은 뉴스를 찾아볼까 하다가 우선 네이버의 랭킹뉴스 메뉴의 '댓글 많은 기사' 세션을 활용해 보았습니다. 일주일 간의 언론사별 '댓글 많은 기사' 중 부동산 관련기사를 정리해서 주요 뉴스를 뽑아보고, 여론을 살핌과 동시에 필력 좋은 대한민국 네티즌(?)님들의 표현력에서 추가 재미를 찾아보고자 공감 높은 댓글을 함께 살펴 보고자 했습니다. 또 저도 정리 및 공부 차원에서 댓글 아래 짧게 보태는 식으로 정리.. 2023. 1. 8.
[Intro] 02. 그래서 어느 역부터 할까? "어라? 강남역이 1위가 아니라고? 많관부!!" 앞선 글에서 향후 어떤 내용으로 포스팅할까에 대한 글을 적었었고 기존의 다른 경쟁(?) 유튜브 및 발간 책자, 블로그에서 다루지 못한 전혀 새로운 내용!! 은 아닌 진짜 역세권 아파트를 찾아내고, 아주 일반적이기 짝이 없는 아파트별 연식, 세대수, 호가, 매물 수 등의 정보와 함께 주요 업무지구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학교 정보까지 포함해 보겠다고 다짐 또 다짐했었습니다. 이때 말하는 주요 업무지구는 어디를 말하는 것이며, 서울만 해도 수없이 많은 지하철역, 기차역 중에서 도대체 어느 역부터 포스팅하면 좋을까요? 우선 주요 업무지구 및 시작할 역을 선정하기 위해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2022년 11월 기준 ‘서울시 지하철역별 승하차 인.. 2023. 1. 5.
[Intro] 01. 도대체 어디까지가 진짜 역세권일까? "광명사거리역 도보 15분 역세권, 어디까지가 진짜 역세권일까요?" 지난 12월 27일부터 3일간 아파트 청약 접수를 진행했던 광명동 호반써밋 그랜드에비뉴는 ‘광명사거리역 도보 15분 역세권’으로 분양 홍보를 했지만 결과는 293가구를 모집하는 1순위 청약에 184명만 청약해 경쟁률이 0.62 대 1 수준으로 매우 저조했습니다. 위에서 보듯 실제로 광명동 호반써밋 그랜드애비뉴에서 광명사거리역까지의 직선거리는 931.1m, 도보로는 13분 소요로 나오는 것을 보면 시행사의 홍보가 아주 터무니없게 보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역세권이라는 말은 맞는 걸까요? 위의 경우는 그나마 양반인 것이 인천의 어떤 시행사는 두 역을 도보 20분 거리에 두었다고 더블역세권이라고 분양 홍보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도대체 어디까지가 .. 2023. 1. 3.
<대한민국 진짜 역세권 아파트> 블로그 방문을 환영합니다! "2022년 전국 아파트 전년말 기준 3.125% 하락 마감, 하지만 이게 시작일지도.." 정부의 정책 부작용과 저금리로 인한 유동성으로 지난 2014년부터 2021년까지 8년 연속 상승하던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마침내 2022년 꺾이게 되었습니다. KB부동산 통계 기준 2022년 12월 전국 아파트 월간매매가격 지수는 96.570으로 전년 말 대비 3.125% 하락, 서울 아파트 월간매매가격 지수는 96.810으로 전년 말 대비 2.96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해당 전국 및 서울 아파트 월간매매가격 지수를 봤을 때 현재의 아파트 가격은 이미 2021년 9월 수준으로 회귀한 것으로 보이고, 이 말은 즉 2021년 10월부터 2022년 9월까지 뒤늦게 패닉을 보이며 아파트 매수에 뛰어든 .. 2022. 12. 31.